이전에 보지 못한 새로운 엄마가 스크린에 등장했다. 따뜻함과 희생을 상징하는 김혜자나 고두심의 이미지도 아니고, 넷플릭스 시리즈 ‘더 글로리’와 ‘마스크걸’에서 염혜란이 보여줬던 강인하고 무서운 엄마의 모습도 아니다. 영화 ‘딸에 대하여’ 속 엄마는 딸의 선택에 혼란스럽고 불안하지만, 결국 자식이 자신과 다른 인격체임을 조용히 받아들이는 인물이다.
4월 4일 개봉한 영화 ‘딸에 대하여’는 작가 김혜진의 동명 소설을 원작으로, 이미랑 감독이 연출을 맡았다. 이야기의 힘뿐만 아니라 이를 섬세하게 영상으로 풀어낸 연출력, 그리고 주인공을 연기한 배우 오민애의 내면 연기가 깊은 인상을 남긴다. 그의 조용한 숨결과 담담하지만 복잡한 표정은 관객의 마음을 오래도록 사로잡는다.
오민애는 30년간 연기 생활을 이어오며 수많은 캐릭터를 거쳐왔다. 그는 “용기를 가지기 위해선 두려움을 겪어야 한다”는 철학을 갖고 있다고 밝혔고, 이는 이번 영화에서 연기한 엄마의 감정과도 맞닿아 있다. 독립영화계에서 꾸준히 활약해온 그는 최근 ‘파일럿’, ‘한국이 싫어서’, 드라마 ‘돌풍’ 등에서 인상적인 존재감을 보여주며 다시 주목받고 있다.
서울 삼청동의 한 카페에서 진행된 인터뷰에서 오민애는 이번 영화에서 맡은 엄마 캐릭터와는 다른 자신의 모습을 솔직히 털어놓았다. “저는 모험을 두려워하지 않는 성격이에요. 아들이 가끔은 너무 무모하다고 놀릴 정도로요,”라고 말하며 실제로는 활발하고 진취적인 엄마라고 자신을 설명했다.
영화 속에서 그는 병으로 남편을 먼저 떠나보내고 요양보호사로 일하며 홀로 살아가는 중년 여성을 연기한다. 어느 날 독립해 나갔던 딸(임세미 분)이 집으로 돌아오고, 아무 말도 없이 동성 연인(하윤경 분)을 함께 데려온다. 갑작스러운 상황에 혼란을 겪는 엄마는 자신의 생각과 다른 딸의 삶을 이해하려 애쓰지만, 마음이 쉽게 정리되지 않는다.
딸은 대학 강사로 일하며 경제적 어려움을 겪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교수의 부당 해고에 반대하는 시위에 참여하고 맞기도 하는 등 자신의 신념을 실현하는 데 주저하지 않는다. 한편, 주인공이 돌보는 노인은 과거 존경받던 사회운동가였지만, 자식도 돈도 없는 이유로 요양원에서 내쫓길 위기에 처한다.
카메라는 밤마다 쉽게 잠들지 못하는 엄마의 얼굴을 조용히 따라간다. 말없이 흘러나오는 한숨과 무표정 속에는 차마 입 밖으로 꺼내지 못하는 수많은 감정들이 숨어 있다. 오민애는 “굳이 설명하지 않아도 드러나는 감정들은 제 안에 이미 쌓여 있었기 때문에 어렵지 않게 표현할 수 있었다”고 전했다. 이어 “살아오면서 쌓인 후회와 상처가 왜 없었겠어요. 나이가 들수록 그런 감정은 더 깊어지는 것 같아요”라고 덧붙였다.
‘딸에 대하여’는 어머니라는 존재를 새롭게 정의하는 영화다. 헌신적이기만 했던 엄마도, 고집스럽고 통제적인 엄마도 아닌, 시대가 요구하는 새로운 엄마의 얼굴을 담고 있다. 자식에게 기대던 정서적 끈을 끊고, 자신만의 삶을 되찾는 과정을 통해 이 영화는 관객들에게 깊은 울림을 선사한다.